노인 장기요양기관 예수금 통장의 사용 목적과 사용 방법 및 운영상의 문제점 및 회계처리 방법

노인 장기요양기관 재무회계에서 예수금 통장을 만들어서 운영하라는 얘기를 많이 들어 봤을 것입니다. 예수금 통장은 급여, 사회보험료 등 인건비를 따로 관리하는 통장을 말합니다. 오늘은 예수금 통장의 올바른 사용법과 운영상의 문제점과 더불어 회계처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목 차] 1. 노인 장기요양기관 예수금 통장의 사용 목적 2. 예수금 통장의 올바른 사용 방법 3. 예수금 통장 관리 및 운영상의 문제점 4. 예수금 통장 이용 시 회계처리 방법 5. 마무리 1. 노인 장기요양기관 예수금 통장의 사용 목적 노인 장기요양기관에서 예수금 통장을 사용하는 목적에는 인건비에 대한 회계처리의 절차 간소화가 가장 큰 목적이라 생각합니다. 급여대장이 작성되면 임금총액(아래 그림 1, A)에서 직원부담분 사회보험료(아래 그림 1, B), 급여 원천세(아래 그림 1, D) 등을 공제하고 공제 후 급여를(아래 그림 1, F) 직원들에게 지급하는데 서로 지출하는 날짜가 달라서 각각의 지출이 발생한 날에 지출결의서를 여러 번 작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반면에 예수금 통장을 제대로 활용한다면 일정한 날에 지출결의서를 한 번에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공단 롱텀케어의 종사자별 인건비 지출내역의 인건비 비율과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W4C)의 인건비 비율을 동일 하게 관리하는데 도움이 줍니다. 물론 여러 가지 변수로 100% 동일하게 관리하는 것은 한계가 있지만 급여대장의 내용을 기준으로 이체하고 입력한다면 동일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예수금 통장의 올바른 사용 방법 예수금 통장은 일반적으로 임금총액(아래 그림 1, A)과 기관부담 사회보험료(아래 그림 2, G)를 관리하기 위해서 만드는 통장입니다. 반면에 퇴직적립금(아래 그림 2, H)은 은행이나 보험사에 일정한 금액을 적립하는 경우와 퇴직연금으로 매월 또는 년 1회 적립하는 두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퇴직적립금은 예수금통장이 있든 없든 상관없이 별도 퇴직적립금을 은행 계좌...